|
|
 |
주의 환경과
다른 부동산은 그것이 비록 신축
건물이라 할 지라도 건물 값은 zero이다
|
|
다가구 주택은 껍데기이다 |
 |
성북동, 평창동, 연희동 등 고급
주택지 내에 위치한 대형 면적의
단독주택은 의외로 상당히 싸다 |
 |
50평 이상의 대형 연립 주택은
인근의 30평짜리 아파트 가격과
같다 |
 |
다세대 주택은 면적 사기가 많다
|
 |
경쟁력없는 대형 소핑 건물이나 상가는
신축건물이라 할 지라도 건물 값은
zero이다 |
 |
아파트 단지내의 상가중 상권을 주변에
빼앗긴 경우는 창고나 공장값밖에
안나간다 |
 |
무인도 등 섬을 거래할 때에는 면적을
조심해야 한다 |
 |
복합건물(상가, 아파트) 내에 있는
아파트는 일반 아파트보다 값이 훨씬
싸다 |
 |
아파트 단지내 상가등에서 상권에
비해 적정 면적을 초과한 경우는
가격이 현격히 떨어진다 |
 |
신도시, 신시가지의 상가는 값이
무척 싸다 |
 |
분당, 일산 등 신도시 내의 상업용
나대지는 조심해야 한다 |
 |
온천 지역 등의 호텔은 수익성을
중시해야 한다 |
 |
중심지 등 번화가에 위치한 예식장은
땅값이 전부다 |
 |
소도시(읍, 면 소재지 및 인구
10만 정도의 시지역)의 중심부에서
전면 후면은 가격차이가 현격하다
|
 |
공시지가를 그대로 믿고 담보 취득하면
큰일 날 수 있다 |
 |
전용볼링장 및 스포트 센터 등의
부동산은 수익성을 중점적으로 파악해야하며,
대부분 땅값이 전부다 |
 |
서울 및 대도시 외곽에 위치한 러브호텔은
값이 현저히 싸다 |
 |
관광지역등에 위치한 나이트클럽 등
유흥업소 부동산은 수익성이 저조하여
거래가격이 싸다 |
 |
반월공단, 인천남동공단 등에 위치한
공장용지는 공시지가보다 훨씬 낮게
거래되어야 한다 |
 |
공장의 개별입지 중 전, 답 등
농경지와 일단으로 이용되고 있는
공장은 농경지부분의 토지는 저가
평가되 |
|
어야 한다 |
 |
축사건물을 공장으로 사용하고 있는
토지는 저가 평가되어야 한다 |
 |
토지대장, 건축물 관리대장상의 면적과
등기부등본의 기재 면적과 차이가
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|
|
한다 |
 |
임야는 위치확인을 잘 해야 한다
|
 |
임야는 면적등기가 잘못된 경우가
종종 있다 |
 |
임야를 도면상 구획정리를 해놓은
경우는 필히 위치확은을 한 후에
거래해야 한다 |
 |
묘지가 많은 임야는 거래할 경우
크게 감가해야 한다 |
|
|